로그인 회원가입 아이엠 클래스서랍 바로가기

     
 
 






HOME >수학이야기>송영준의 수학따지기
왜 사람들은 수식을 두려워하는가?
Posted at 2011-11-28 15:09:29

따짐이: 제가 어떤 책에서 보니까, '책에 수식이 한 개 들어갈 때마다 독자가 반으로 줄어든다' 던데 정말 그럴까요?

선생님: 보통, 사람들이 수식을 싫어하는 것은 사실이지.  수식에 대한 막연한 '공포' 같은 것이 있다고도 볼 수 있고.

따짐이: 수식을 두려워한다는 건가요?  수식이 무슨 해를 입힌다고...

선생님: 해를 입힌다기보다는 그것이 무슨 뜻인지 금방 이해가 안되기 때문에, 즉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지.  사람들은 잘 모르는 것을 막연히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어.

따짐이: 글을 읽다가 수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모르는 낱말(단어)가 나오는 것하고 비슷한 경우일 것 같은데,  낱말을 두려워한다는 말은 못 들어 본 것 같은데요?

선생님: 모르는 낱말은 앞뒤 문맥으로 짐작할 수 있거나, 정 안되면 사전을 찾으면 알 수 있을 것이라는 어느 정도의 자신감이 있지만, 수식의 경우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모르는 기호가 나왔을 때 그 뜻과 사용 방법을 알아서 그 수식을 이해하게 되려면 아마도 한 단원 분량의 수학 공부를 해야 할 것이고, 그 공부를 위해서는 또 다른 기초 지식이 필요할 것이고, 어쨌든 사전 찾는 것 정도로 해결될 일은 아니지.

따짐이: 정말 그럴 것도 같네요.  그런데 왜 꼭 그래야 하는 것일까요?  수학 기호를 단순 명쾌하게 풀이한 사전은 못 만드나요?

선생님: 일상언어는 생활을 하면서 습득한 엄청난 양의 지식이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해.  사전에 나와 있는 것은 그 지식들을 끄집어낼 수 있는 '키워드'에 불과하지.  사전에 낱말 풀이가 단순 명쾌하게 나와 있는 것 같아도 따지고 들어가기 시작하면 한이 없는 것, 너도 알지?

따짐이: 맞아요.  그러니까 선생님 말씀은, 사전이 하나의 낱말을 짧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일상 언어를 가지고 표현되는 거대한 지식을 기초로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선생님: 그래, 그런 일상 언어로 표현되는 지식을 상식이라고 할 수도 있지.

따짐이: 좋아요, 상식.  일상 언어는 상식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런데 수학의 경우에는...

선생님: 경우에는?

따짐이: 어떤 기호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이 많지 않다, 아니면 간단히 설명해도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수학적 지식이 많은 사람들이 별로 없다, 이런 얘기가 되겠네요.

선생님: 그래.  실제로 같은 분야의 수학을 어느 정도 공부한 사람들끼리는 기호 하나를 설명하는데 그리 많은 말이 필요 없어.  멀리 갈 것도 없이, 초등학생에게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설명한다고 생각해 보라고.  하지만 중학교 3학년 학생은 공식에 나오는 기호 같은 것을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바로 이해할 수 있지.

따짐이: 그렇게 말씀하시니까 또 하나의 의문이 생기는데요.

선생님: 뭔데?

따짐이: 보통 '일반인'이라 불리는 사람들은 대부분 고등학교는 졸업한 사람들이죠?

선생님: 그렇지.

따짐이: 제가 보기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고 해도 거기 나오는 수식은 기껏해야 거듭제곱근이나, 삼각함수가 나오는 정도를 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요.

선생님: 맞아.  중학교 정도의 수학 지식 정도만 필요한 수준.  그것을 넘으면 좀 전문성이 있는 책이라고 해도 돼.

따짐이: 그럼 수식 한 개에 독자가 반으로 줄어들 정도로 일반인들이 수학적 지식이 없다는 것은 이상하지 않나요?

선생님: 중학교를 졸업했다고 해서 중학교에서 배운 것을 모두 알고 있다고는 할 수 없지.  기껏해야 거듭제곱 수준인 수식 한 개에 독자가 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은 고등학교를 졸업해도 중학교 정도의 수학 지식도 없는 사람들이 꽤 많다는 말이 되겠지.

따짐이: 잊어버려서?

선생님: 내가 보기에는 관심이 없고, 그래서 잊어버리는 것이지.  아니, 학교에 다닐 때부터 관심들이 별로 없어.  관심 있는 학생이 오히려 적지.  너도 잘 알지 않니?

따짐이: 대체 왜 그럴까요?

선생님: 왜 사람들이 공부에 관심이 없을까... 그 이야기는 또 다른 이야기가 되니 다음 기회에 하도록 하자.



Total 29 Articles, 1 of 2 Pages
29 왜 식끼리 계산하는가? 2012-01-19 8224
28 왜 별 모양의 다각형은 교과서에 없는가 2011-12-05 5904
27 왜 부등식의 성질은 등식의 성질과 다른가 2011-11-28 3041
26 왜 음수 곱하기 음수는 양수인가? 2011-11-28 5015
25 왜 함수를 그렇게 정의하는가? 2011-11-28 3574
24 왜 한 번의 증명으로 모든 경우를 증명할 수 있는가 2011-11-28 2601
23 왜 1은 2보다 작은가 2011-11-28 4263
22 어떻게 하면 수학을 배우고 싶어할 수 있는가? 2011-11-28 3878
21 왜 확률과 통계를 같이 배우는가 2011-11-28 2991
20 왜 사교육이 문제라고 하는가? 2011-11-28 3497
19 왜 교집합, 합집합이 중요한가? 2011-11-28 2696
18 컴퓨터는 어떻게 모든 자료를 수로 나타내는가? 2011-11-28 2672
17 왜 구구단을 외우는가? 2011-11-28 3369
16 어떻게 해야 수학 공부를 잘 할 수 있는가? 2011-11-28 3894
15 왜 무리수를 사용하는가? 2011-11-28 2997
14 왜 호도법(라디안)을 사용하는가? 2011-11-28 3990
13 왜 0이 중요한가? (2) 2011-11-28 2593
12 왜 0이 중요한가? (1) 2011-11-28 3044
11 왜 0.999999… = 1 인가? 2011-11-28 4182
10 왜 사람들은 수식을 두려워하는가? 2011-11-28 2948
1 [2]
제목 내용 

예산 후불 결제 주문 시 배송메세지에 품의 완료 여부를 적어주세요
학교 예산 후불 결제 안내
사업자 등록증 다운로드
통장사본 다운로드
활짝 구글 크롬 바로가기 배너 그림
Copyright ⓒ shop.mathlove.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