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사탕 선생님의 답변입니다.
유한소수의 정의가 "소수점 아래 0이 아닌 수가 유한개인 소수"라고 책에서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유한소수가 되려면
1. 소수
2. 소수점 아래 0이 아닌 수가 유한개
이 두 조건을 다 만족해야 합니다.
첫번째, 정수는 소수인가
서점에 가서 초등학교 교과서와 문제집을 아무리 찾아 보아도 정수가 소수라는 주장을 찾지 못했습니다.
선생님께서 이와 관련된 서적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오.
두번째, 정수는 소수점도 없는데 소수점 아래 0이 아닌 수가 유한개를 설명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유한 소수를 설명하실 때 집합을 예로 들었습니다.
선생님의 주장이 성립하려면 집합과 소수의 체계가 먼저 같다는 전제가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소수가 출현하게 된 것은 정수가 되지 못하는 분수를 10진법으로 나타내는 방법에서 나왔습니다.
정수는 소수로 나타내는 대상이 아니였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정수가 아닌 분수를 소수로 바꾸는 과정을 배우면서 단 한번이라도 정수를
소수로 여기는 것을 배우지 못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