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아이엠 클래스서랍 바로가기

     
 
 






HOME >수학나눔>묻고답하기
아직도 이해가 안됩니다. 수학사랑
Posted at 2012-01-28 17:05:37

솜사탕 선생님의 답변입니다.

 

 

학교에서1/2=0.5,  4/2=2라고 배우지 이것을 각각 0.5000000....., 2.0000000..... 이라고 배운 적 없습니다.

4/2=2.00000000....이라고 주장하는 학생이라면 분수를 소수로 고치는 법을 재대로 배우지 못한 것이겠죠.

우리가 초등학교 때 배운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는 방법대로 1/2를 소수로 나타낸다면

     1/2=0.49999999....... 는 절대로 나올 수 없습니다.

그런데 학생이 어디서 보고 1/2=0.4999999....라며 무한소수라고 주장하면 어떻게 하실 겁니까 

그야말로 분수를 초등학교 때 배운 그 방법대로 소수로 고칠 때

4/2=2라고 쓰지 2.0, 2.00, 2.00000.... 이라고 쓰지 않습니다.

1/2=0.5이지 0.50, 0.500, 0.50000...., 0.4999999라고 쓰지 않습니다.

그래서 1/2를 소수로 나타낼 때 유한소수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공집합은 원소가 없기 때문에 유한 집합이라고 설명하셨습니다.

수학에서 유한이란 의미는 자연수와 대응관계에서 설명되어집니다.

유한 집합을 설명할 때 "공집합은 유한집합이라고 하자"라고 하지 원소의 갯수가 0이므로 유한집합이라고 설명하지 않습니다.

집합을 정의 할 때 "공집합도 집합이라고 하자"입니다.

집합의 정의를 따르면 공집합이 설명되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는 "정수는 소수이다"라고 말할수 있으면 해결될 것인데...

정수가 소수이어야지 유한이냐 무한이냐를 따질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다음글 수식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전글 I love 상섭~!ㅎㅎㅎ
답글
중학과정에서 정수를 유한소수로 볼 수 있나요?
정수도 유한소수입니다
교과서에서는...
유리수를 소수로 전환할 때
어려운 부분이죠..
아직도 이해가 안됩니다.
정수는 소수점도 없습니다.
간단히 생각해 봅시다
문제는 유리수의 표현에서 입니다.
필요에 의해서 생긴 것이 아닐까요?
수학사전에 나와있는 유한소수의 정의입니다.


예산 후불 결제 주문 시 배송메세지에 품의 완료 여부를 적어주세요
학교 예산 후불 결제 안내
사업자 등록증 다운로드
통장사본 다운로드
활짝 구글 크롬 바로가기 배너 그림
Copyright ⓒ shop.mathlove.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