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한가지 의문이요..
모든 함수와 그의 역함수의 교점이 y=x위에 있다고 할 수 없다면요,,
고등학교에서.. 주어진 함수와 그 역함수의 교점을 구하는 문제에서
그 역함수를 직접 구하지 않고 y=x와의 교점을 구하잖아요,,
그럼 이 방법이 모든 교점을 구하지 않게되는거 아닌가요??
선생님의 귀한 시간을 이렇게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문제를 풀 때 무조건 위에 있다고 놓고 푸는 것은
아니었을 겁니다.
함수와 그의 역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 직선 에 대칭임 됨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려보면, 만나는 교점이 위에 놓임을 알게 되어, 원래의
함수와 를 연립하여 풀었을
겁니다. 물론 그냥 함수와 그의 역함수를 연립하여 풀어도 교점을 찾을 수 있으나, 그렇게 되면 실근과 무연근을 또 골라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눈에 보이는 그래프를 이용하고, 덤으로 와도 교점임을 발견하게 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고등학교 학생이 그래프를 이용하여 두 교점을 찾는 문제는 거의 교점이 하나였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