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아이엠 클래스서랍 바로가기

     
 
 






HOME >수학나눔>묻고답하기
답변 수학사랑
Posted at 2012-01-19 12:04:26

이현녀 선생님의 답변입니다.

 

 

질문 제목이 이해 가실런지 모르겠네요..

함수의극한문제 에서 리미트기호와 로그기호를 바꿔서

계산하는 경우도 있던데 왜 그럴 수 있죠?

원리가 도대체 뭘까요?

어떤애는 연속함수의 성질에 f(g(x))   <-- 이걸로 설명 할 수 있을 거라고 하는데 친구 녀석말보단 고수들이신 선생님의 정확한 설명을 듣고 싶네요. ^^;;;

아 그리고 탄젠트였나?

리미트와 탄젠트 위치 바꿔서 계산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던 거 같은데..

안되는 경우도 좀 알려주세요  ^^

 이 기호는 x 가 a 로 가까이 갈 때 함수값은 어디에 가까워지는 지를 묻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모든 x 앞에 붙어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로그의 기호나 미분의 기호에는 x가 없으므로 그 기호를 제쳐두어도 좋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탄젠트와 위치가 바꿔 계산할 수 없다면 탄젠트 말고 뒤에 또 x 가 포함된 식이 있기 때문은 아닐까요?

구체적인 문제가 없으니 제가 생각이 짧아 잘 안 떠오르네요^^;;

구체적 문제를 제시해 주면 더 좋을 듯 합니다.



다음글 양변의 계산법...?
이전글 수2 미정계수의 결정에서요..
답글
리미트를 삼각비기호,로그 등 여러기호와 위치를 바꿀 수 있는 이유?
답변
제 생각을 이야기하자면...


예산 후불 결제 주문 시 배송메세지에 품의 완료 여부를 적어주세요
학교 예산 후불 결제 안내
사업자 등록증 다운로드
통장사본 다운로드
활짝 구글 크롬 바로가기 배너 그림
Copyright ⓒ shop.mathlove.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