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녀 선생님의 답변입니다.
질문 제목이 이해 가실런지 모르겠네요..
함수의극한문제 에서 리미트기호와 로그기호를 바꿔서
계산하는 경우도 있던데 왜 그럴 수 있죠?
원리가 도대체 뭘까요?
어떤애는 연속함수의 성질에 f(g(x)) <-- 이걸로 설명 할 수 있을
거라고 하는데 친구 녀석말보단 고수들이신 선생님의 정확한 설명을 듣고 싶네요. ^^;;;
아 그리고 탄젠트였나?
리미트와 탄젠트 위치 바꿔서 계산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던 거 같은데..
안되는 경우도 좀 알려주세요 ^^
이 기호는 x 가
a 로 가까이 갈 때 함수값은 어디에 가까워지는 지를 묻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모든 x 앞에 붙어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로그의
기호나 미분의 기호에는 x가 없으므로 그 기호를 제쳐두어도 좋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탄젠트와 위치가 바꿔 계산할 수 없다면 탄젠트 말고 뒤에 또 x 가 포함된 식이 있기 때문은 아닐까요?
구체적인 문제가 없으니 제가 생각이 짧아 잘 안 떠오르네요^^;;
구체적 문제를 제시해 주면 더 좋을 듯 합니다. |